'까르네국가'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6.02.24 ATA CARNET (까르네)란?
공부하자/무역실무2016. 2. 24. 16:3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ATA CARNET (까르네) 에 대해 알고계세요?

 

해외 전시회에 상품을 출품하는 경우 제일 먼저 걱정되는 것이 상품의 수출입통관인데요...

상품을 반출을 하더라도 재반입시 동일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면세를 받지못하는 경우가 있고, 해외에서도 재반출을 하기전 담보금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 과정을 생각하면 생각만해도 머리가 아프지요 ㅠㅠ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간소화하기위해 까르네라는 증서를 발급합니다. 까르네에 대해 잠깐 소개해 드릴게요.

 

 

* 까르네의 기능

 

 

1.  물품의 일시 수입을 위한 수입통관 증서를 의미

 

1) 반출될 때 국내 세관에 수출신고 2) 수입국세관에 수입신고 3) 재반입시 수입국세관에 재수출신고 4) 국내세관에 재수입신고

 

위 네가지 통관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국가마다 통관프로세스와 신고서식, 제출서류 등이 다르므로 번거로운 일이 많음.

까르네 증서는 위 4가지 통관신고서가 세트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로 통관신고 서식을 작성하지 않아도 되고 ATA 협약국 세관에 해당증서가 적법하게 제시됐을때 유효한 통관증서로 인정하고 있음.

 

2. 관세, 부가세 등의 담보증서

 

일시적 수입물품에 대해 재수출불이행, 분실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관세에 대한 보증증서 임.

까르네를 소지하지 않는 경우 각 나라별 세율, 담보금 등에 대한 사항을 면밀히 검토하고 담보에 상응하는 현금을 소지하고 나가야하는 경우도 있다.

 

 

* 까르네의 이용

 

 

1. 해외 전시회 참가물품 (핸드캐리뿐만 아니라 운송업자에 의한 운송, 특송우편 등 이용가능)

2. 직업용구 : 외국에서 특정한 업무, 작업을 위한 물품

3. 상업용 샘플

 

 

* 까르네 유효기간/재수출기간

 

 

1. 유효기간 : 발급일로부터 1년 (싱가폴의 경우는 3개월만 지정)

유효기간은 수입국 세관이 재수출기간을 정할때 참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며, 유효기간과 재수출기간은 반드시 구분되어야 함.

유효기관은 발급기관이 인정하는 증서의 효력기간이며, 재수출기간은 수입국 세관이 지정하는 수입국에서의 체류 허용기간임.

 

 

* 발급기관

 

 

서울상공회의소/부산상공회의소/대구상공회의소/안양상공회의소

 

 

*ATA협약 체약국 현황

 

 

1. 유럽연합 28개국 : 오스트리아, 독일, 폴란드, 벨기에, 그리스, 포르투갈, 불가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슬로바키아, 사이프러스,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체크공화국, 라트비아, 스페인, 덴마크, 리투아니아, 스웨덴, 에스토니아, 룩셈부르크, 영국, 핀란드, 말타, 프랑스, 네덜란드

 

2. 기타유럽 15개국 : 알바니아, 아이슬란드, 러시아, 안도라, 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벨라루스, 몰도바, 스위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터키, 지프롤터, 노르웨이, 우크라이나

 

3. 아프리카, 중동 12개국 : 알제리, 레바논, 세네갈, 코트디브와르, 마다가스카르,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란, 모리셔스, 튀니지, 이스라엘, 모로코, 아랍에미레이트

 

4. 미주 4개국 : 캐나다, 칠레 멕시코, 미국

 

5. 아시아, 태평양 15개국 : 호주, 일본, 뉴질랜드, 중국, 한국, 파키스탄, 대만, 마카오, 싱가폴, 홍콩, 인도, 몽고, 태국,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ATA까르네에 대하여 짧게 설명을 드렸구요.

다음 포스팅에서 어떻게 발급해야 하는지 그 과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할게요~

까르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상공회의소 홈페이지에 잘 나와있으니 참고하세요^^

 

http://cert.korcham.net/

 

 

 

 

 

Posted by 카카오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