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해외송금신청서 작성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까해요.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저희회사는 무역팀에서 해외송금신청서를 작성하고 자금결제는 회계팀에서 해주는 방식으로 진행하는데요.
이회사 들어와서 해외송금을 처음 시도하였는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어요.
몇가지 정보만 가지고 있으면 쉽게 할 수 있답니다^^
하지만 숫자, 단어 하나하나 꼼꼼하게 살펴보는 디테일이 필요해요!
절대 덜렁대면 안돼요 그러면 호~온나요. 실수하면 돌이킬 수 없으니깐요.ㅎㅎ
각 은행별로 송금신청서 양식이 조금 다르지만 기입하는 내용은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됩니다.
해외송금시 필요한 기본정보 및 제출서류는 다음과 같아요.
[수취인 정보]
1. 수취인 이름/주소/전화번호
2. 수취인 거래은행명/지점명
3. 수취인 거래은행의 SWIFT CODE
4. 수취인 계좌번호 또는 IBAN CODE (유럽일 경우)
[제출서류]
1. 해외송금신청서 (명판+직인)
2. 인보이스 (사전송금 : P/I, 사후송금 : 수입인보이스)
3. 수입면장 (사후송금일 경우)
SWIFT CODE는 국제은행간 전산망 코드로서 이 코드하나로 어느 은행인지 조회가 가능하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SWIFT CODE는 필수정보구요. 코드가 궁금하시면 각 은행에 전화해서 물어보면 알려줍니다.
IBAN CODE는 유럽에서만 사용되는 코드인데 계좌번호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때문에 유럽으로 송금할 경우에는 필수로 기입되는 코드입니다.
그럼 송금신청서를 작성해 볼까요?
아래 신청서는 국내 주요은행 중 한곳에서 사용하는 양식입니다.
아래 양식에서 초록색 칸은 신청인 정보를, 붉은색 칸은 수취인의 정보를 표시하는데,
필수적으로 입력해야하는 내용은 제가 간단하게 적어놨어요 ^^
수취인 은행의 지점주소까지는 굳이 기입하지 않으셔도 상관없습니다.
사전송금인 경우에는 P/I(Proforma Invoice) 만으로 송금이 가능하지만
사후송금 즉, 수입한 후 대금을 지급하는 경우에는 수입인보이스, 수입면장을 함께 은행에 제출해야 합니다.
은행에서는 수입면장상에 있는 해외거래처, 수입금액 등을 인보이스와 대조비교한 후 송금을 해줍니다.
면장제출을 요하지 않는 은행도 있지만 사후송금일 경우에는 제출해야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해외송금 신청서 작성하기 참 쉽죠? 내용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제가 알려드린건 해외거래처에 송금할 경우 작성하는 신청서인데 개인송금도 위 신청서에서 별반 다른거 없을듯 합니다.
그리고 무역거래를 하다보면 쇼티지, 하자 등으로 인하여 credit을 받고 차감 후 나머지 금액만 송금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요..
이 금액이 2천불을 초과하면 상계신고를 해야합니다. ㅠㅠ
상계신고하는 방법도 다음 포스팅에서 알려드릴게요~
그럼 전 이만...
'공부하자 > 무역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A CARNET (까르네) 발급방법 1_ 서명등록 (0) | 2016.02.26 |
---|---|
ATA CARNET (까르네)란? (0) | 2016.02.24 |
위약반송 방법 및 제출서류 (0) | 2016.02.18 |
한-EU FTA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아봐요. (0) | 2016.02.11 |
유니패스에서 내 물품의 통관현황을 조회할 수 있어요. (0) | 2016.02.04 |